2009년 1월 31일 토요일

우리에게 필요한 신문은 이런 신문이다!

간만에 the Onion에 들어가 봤더니 아주 죽이는 기사가 하나 떴습니다.


Asian Teen Has Sweaty Middle-Aged-Man Fetish



百問不如一見!!!



이래서 양키들을 좋아할 수 밖에 없지 말입니다.

우리에게도 이런 신문을 달라!

2009년 1월 26일 월요일

최악의 연휴

일단 연휴에도 일을 하고 있습니다. 마감일이 하필 28일인지라 요 며칠동안 의자에 앉아서 자는 중이죠;;;;;

그리고 연휴 기간 동안 계속 눈이 내리니 가뜩이나 부족한 시간에 눈까지 치우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눈을 싫어하진 않는데 일이 있을 때 내려주니 정말 선녀님들을 고발하고 싶군요.

블로그에 들러주시는 분들은 남은 연휴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2009년 1월 24일 토요일

적백내전기 볼셰비키 정부의 징병제 실시와 그 문제점

군사사, 또는 소련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잘 아시겠지만 소련을 세운 볼셰비키들은 군사력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서 아주 잘 알고 있었으며 군대를 조직하는데 자신들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합니다.

볼셰비키들은 붉은군대의 창설 초기 계급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노동자’ 계층의 지원을 통해 군대를 확장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상당수의 볼셰비키들은 계급으로서의 농민을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농민을 군대에 받아들일 생각이 애초에 없었습니다. 실제로 적백내전 초기 단계에서는 농민들이 볼셰비키를 지지하는데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다고 하지요. 그러나 러시아 전역에서 혁명에 반대하는 세력이 들고 일어났기 때문에 순수하게 자원한 노동자만으로 이루어진 군대로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전쟁이 격화되는 마당에 한 줌 밖에 되지 않는 노동자만을 대상으로 군대를 증강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니까요. 게다가 막상 모병을 실시해 보니 노동자들은 총을 잡는데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18년 2월에 모스크바에서 모병을 실시했을 때 30만명의 노동자가 자원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실제로 지원한 것은 2만 명에 불과했으며 게다가 이 중 70%는 원래 군인이었습니다. 군인 출신이 아닌 자원자들도 도시 실업자나 범죄자가 상당수여서 혁명군대라고 하기에는 뭔가 민망한 상태였습니다.[Figes, 1990, p.175]

1918년 5월과 6월에 겪은 여러 차례의 군사적 패배는 대규모 병력 동원의 필요성을 증대시켰습니다. 볼셰비키 정부는 급박한 전황에 대처하기 위해 1918년 4월 8일에 실질적으로 국민개병제를 실시하기로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5월부터 대규모의 병력 동원이 시작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형식적으로는 지원병 모집이었지만 징병 연령대의 남성들에게 입대를 강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침내 5월 29일, 트로츠키는 공식적으로 징병을 선포합니다.[Ziemke, 2004, pp.42~43] 그러나 볼셰비키 정부는 여전히 도시 노동자들을 동원하려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실제로 1918년 6월에서 8월 사이에 있었던 총 15회의 모병 캠페인 중 11회는 노동자만을 대상으로 이뤄졌다고 합니다.[von Hagen, 1999, p.36] 이러한 대규모의 병력 동원으로 1918년 여름과 가을 사이에 모스크바와 페트로그라드에서만 20만명의 노동자가 군대로 편입되었습니다. 농민 또한 동원 대상에 포함되었지만 초기에는 농민의 참가가 매우 저조했습니다. 볼셰비키 정부는 1893~1897년 출생의 농민 275,000명을 동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1918년 6월과 7월의 동원을 통해 4만명을 충원하는데 불과했습니다. 물론 1918년 8월 이후 80만명이 넘는 농민을 동원하는 성과를 거두긴 했습니다만 초기의 저조한 성과는 충분히 실망스러운 것 이었습니다.[Figes, 1990, p.177]

게다가 1918년 8월 6일 카잔이 함락되자 볼셰비키 정부의 위기감은 극에 달했습니다. 이제극렬 좌파조차도 승리를 위해서는 그들이 혐오하는 중앙 통제적인 지휘체계와 대규모 군대가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했습니다. 레닌은 1918년 10월 3일 전러시아중앙집행위원회(VTsIK, Всероссийский Централь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Комитет)에서 당장 3백만의 군대를 조직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Figes, 1990, p.181] 이런 대규모 군대를 편성하는 방법은 하나 밖에 없었습니다. 농민을 대상으로 대규모 ‘징병’을 실시하는 것 이었습니다. 이미 트로츠키는 짜르 통치하의 장교와 부사관들을 ‘군사전문가’로서 혁명 군대에 대거 편입시킨 경험이 있었습니다. 혁명의 승리가 절실한 마당에 농민을 징집하는 실용노선을 택한다 한 들 무슨 문제가 있겠습니까?

1919년 3월 18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제8차 전당대회는 농민 문제에 대한 일대 전환점이었습니다. 이 대회에서 볼셰비키들은 혁명이 완수된 이후에도 중농 계급은 오랜 기간 존속할 것이기 때문에 혁명 승리를 위해 계급으로서의 중농층과 연합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즉 ‘빈농 및 중농과 연합하여 부농을 치자’는 논리 였습니다.[von Hagen, 1999, p.60] 8차 전당대회 이후 농민에 대한 대규모의 징집이 추진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1919년부터 붉은군대는 폭증하기 시작했습니다. 1919년 1월 약 80만명 수준이던 붉은군대는 불과 1년 뒤인 1920년 1월에는 3백만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징병이 절정에 달한 1919년 3월에는 한 달 동안 345,000명이 징집되었습니다.[Figes, 1990, p.183] 부하린은 붉은군대에 농민이 대거 유입됨으로서 프롤레타리아들이 농민화 되어 혁명의 전위로서의 의식을 사라지게 만든다고 툴툴댔습니다.[Lincoln, 1999, p.374] 또한 군대 내의 당원들도 붉은군대의 계급적 순수성이 더럽혀 지는 것을 불쾌하게 생각했지만 어쩌겠습니까. 전쟁 중인데…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징병은 겉으로는 꽤 인상적인 것이었지만 실제 내용면에서는 문제가 많았습니다. 무엇보다 숙련된 장교와 부사관이 부족해 징집한 훈련병들을 신속히 훈련시켜 전선으로 투입할 수 가 없었습니다. 내전 기간 중 붉은군대가 최대 규모에 달했던 1920년 10월의 경우 총 550만명의 병력 중 225만명이 훈련병이었습니다. 그리고 1차대전이 끝난 직후에 바로 내전이 발발했기 때문에 징병에 대한 거부감이 강했던 것도 문제였습니다. 특히 1차대전에 참전한 경험이 있는 남성들은 군대에 징집되는 것을 회피했습니다.
게다가 기본적인 장비의 부족으로 실제 전투 병력은 더 적었습니다. 1920년 10월 기준으로 총 병력 550만명 중 전투 병력은 70만 명이고 이 중 제대로 무장을 갖춘 숫자는 50만명 내외로 추정됩니다.[Figes, 1990, p.184] 붉은군대의 장비 부족 문제는 특히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러시아는 이미 1차대전 당시에도 군수물자 부족으로 고생했습니다만 모든 것이 혼란에 빠진 내전 상황에서는 문제가 더 심각했습니다. 볼셰비키 정부가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군대를 마구 잡이로 증강시켰기 때문에 보급 문제는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붉은군대의 병사 1인당 식량 지급량은 1919년 2월 기준으로 하루 400그람의 빵이었으나 실제로 일선 부대는 이 수준의 급식을 받을 수 없었다고 합니다. 일부 부대는 식량 보급이 되지 않아 병사들이 굶어죽는 경우도 발생했다고 합니다. 사람이 먹을 식량도 보급이 안되는 마당이었으니 군마에게 먹일 사료의 보급도 딱히 나을 게 없었습니다. 물론 전선에서의 혹사나 질병으로 인한 손실도 많았으나 상당수의 군마는 사료가 없어 죽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한 폐사도 사료의 부족이 원인인 경우가 많았다고 하지요.[Figes, 1990, pp.191~192] 식량 사정이 이 지경이었으니 다른 보급품의 상태가 더 좋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일선 부대들의 경우 군복을 지급받지 못한 병사가 60~90% 사이를 오가는 것은 기본이었고 아예 군복 자체를 받지 못한 부대도 있을 정도였습니다. 이것은 겨울에 특히 심각한 문제였는데 동복을 지급받지 못하면 바로 얼어 죽기 때문이었습니다. 특히 군대가 갑자기 팽창한 1919~1920년의 겨울에는 동복 부족으로 인해 수많은 병사들이 얼어 죽었습니다. 군화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가죽 신발보다는 현지에서 쉽게 조달할 수 있는 천으로 만든 신발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 부대들은 전선 근처에서 직접 물자를 조달했는데 이것은 사실상 수백년 전의 약탈 보급으로 되돌아 간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부족한 식량, 피복, 위생 도구는 바로 질병을 불러왔고 적백내전 기간 중 붉은군대 사망자의 대부분은 전사가 아닌 질병 및 부상의 악화로 인한 사망이었습니다. 내전 기간 동안 붉은군대의 전사자는 259,213명이었는데 질병과 부상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자는 616,605명이었습니다.[Krivosheev, 1997, p.35] 대부분의 부대들은 부대원의 10~15% 정도가 항상 질병으로 앓아 누워 있었고 심지어는 환자가 전 병력의 80%인 부대가 전선에서 작전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티푸스, 콜레라, 천연두, 독감, 성병이 만연했고 많은 희생자를 가져왔습니다.[Figes, 1990, pp.193] 붉은 군대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병원균 군락이 되다 보니 피부병 같은 것은 질병 축에도 못 낄 정도였다지요.

상황이 이 모양이다 보니 군기의 문란이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특히 병사들이 작전 중에도 술을 마셔대는 것은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이미 트로츠키는 1918년 11월 일선 지휘관들에게 군기 확립을 위해 사병에 대한 즉결처분권을 부여한 바 있었습니다.[von Hagen, 1999, p.65] 음주 문제가 대두되면서 즉결처분의 대상이 근무 중 술을 마시는 병사로 확대되었습니다. 물론 병사들의 사정을 잘 아는 지휘관들은 명령을 받아도 이것을 이행하지 않았습니다. 아마 그런 짓을 했다가는 뒤통수에 총을 맞을 거라는 것을 잘 알았겠지요. 실제로 분노한 병사들이 장교나 공산당원을 살해하는 경우가 빈번했습니다. 그리고 간혹 부대내의 유태인을 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는군요.(;;;;)
탈영은 군기문란이 가져온 가장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전선에서의 탈영은 물론 징집과정에서의 탈주도 빈번했다고 합니다. 징병되어 전선으로 향하는 도중 탈영하는 경우가 많았고 때로는 징집병들이 집단으로 도망가기도 했다는 군요. 1919년에는 징병 도중 도망치는 경우가 전체 탈영병의 18~20%였다고 합니다.[von Hagen, 1999, p.69] 게다가 혼란기이다 보니 징집 대상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과 관리가 되지 않아서 한 번 탈영한 병사가 다른 부대에 들어가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합니다. 내전기의 국민당 군대나 베트남 전쟁 당시 남베트남군대를 연상시키는 이야기 입니다.(;;;;) 탈영으로 인한 병력 손실은 꽤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1920년 2월과 4월 사이에 붉은군대는 294,000명의 병력을 잃었는데 이 중 전사자와 부상자는 2만명에 불과했습니다. 실제로 탈영병의 규모는 엄청났는데 1919년 6월부터 1920년 6월의 1년간 탈영한 병사의 숫자는 2,638,000명이었다고 합니다. 수백만명을 징집하면 수백만명이 탈영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중 탈영 뒤 자수한 1,531,000명을 제외하더라도 1년에 백만이 넘는 탈영병이 발생했다는 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였습니다.[Figes, 1990, pp.198~328] 그나마 다행인 것은 실제 전투 부대에서는 탈영율이 낮았다는 것 입니다. 전투부대의 탈영병은 전체 탈영병의 5~7% 수준이었다고 하는군요.[von Hagen, 1999, p.69] 그러나 위에서 살펴봤듯 붉은군대의 총 병력 중 전투 병력이 얼마 되지 않으니 딱히 좋다고 하기도 그렇습니다. 특히 강제적으로 징병된 병사들은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예를 들어 23사단 202포병여단의 경우 자원한 노동자가 주축을 이뤘던 시기에는 큰 문제없이 싸웠으나 1919년 8월에 손실보충을 위해 농민 징집병들을 배치받은 뒤로는 문제가 심각해 졌습니다. 이후의 전투에서 200명 정도의 농민 징집병들이 여단 정치위원을 사살한 뒤 도망가 버려 결국에는 이 여단이 해체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Figes, 1990, pp.203] 심지어 연대단위로 반란을 일으킨 뒤 도망가는 경우도 발생했습니다.[Lincoln, 1999, p.252] 전선의 상황에 분노한 트로츠키는 탈영병들을 모두 총살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역시 일선의 상황을 잘 아는 지휘관이나 모병 담당자들은 본보기로 몇 명을 처형하는 정도로 그쳤습니다.[von Hagen, 1999, p.72] 어차피 상당수의 탈영병들은 알아서 돌아올 테고 또 아무리 총살을 해 봤자 병사들을 탈영하게 만드는 군대의 문제점은 바뀌지 않기 때문이었습니다.

적백내전기 볼셰비키 정부의 병력 동원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부가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이상으로 군대가 늘어났기 때문에 일선 부대들은 만성적인 보급 부족에 시달렸으며 수백만의 군대를 만들었지만 정작 전투 병력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보급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막대한 비전투손실은 근대국가의 군대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징병제를 통해 증강된 붉은군대는 결국 볼셰비키를 승리로 이끄는 원동력이 됩니다. 아마 좌파 볼셰비키들의 주장대로 혁명적 순수성을 위해 노동자 지원병만으로 내전을 치렀다면 현대사는 조금 다르게 돌아갔을 가능성이 높을 것 입니다.


참고문헌
John Erickson, The Soviet High Command : A Military-Political History 1918~1941(Third Edition), Frank Cass, 1962/2001
Orlando Figes, ‘The Red Army and Mass Mobilization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1918~1920’, Past and Present 129, 1990
Mark von Hagen, Soldiers in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 The Red Army and the Soviet Socialist State, 1917~1930,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G. F. Krivosheev(ed), Soviet Casuali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hill, 1993/1997
W. Bruce Lincoln, Red Victory : A History of the Russian Civil War 1918~1921, Da Capo, 1989/1999
Roger R. Reese, Red Commanders : A Social History of the Soviet Army Officer Corps 1918~1941,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5
Earl F. Ziemke, The Red Army 1918~1941: From Vanguard of World Revolution to US Ally, Frank Cass, 2004

※ 잡담 1. 그러고 보면 러시아/소련군은 항상 신발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것 같습니다.

※ 2. '역사학도'님이 용어의 사용, 개념 문제에 대해서 지적을 하셨습니다. 표현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본문의 일부를 수정했습니다.

2009년 1월 19일 월요일

정말 의외로군!

The first edition of ‘The War for Palestine’ was published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n 2001. The success of this book surpassed all our expectations. It received considerable critical acclaim; it sold over 8,000 copies; and it was translated into three languages – Arabic, French, and Italian.

Eugene L. Rogan and Avi Shlaim(ed), The War for Palestine(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xvii

8,000부 판매한 것이 예상을 뛰어넘는 성공이라니. 영어권의 학술서적 시장이 저 정도 규모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이 놀랍다.

한국전쟁 기간 중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미군에 의한 민간인 살해

예전에 신천학살에 대한 북한의 공식적인 역사서술이 가지고 있는 허구성에 대해서 글을 한 편 쓴 일이 있습니다. 원래 다른 용도로 쓴 글을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서 양을 크게 줄였기 때문에 황해도의 우익단체 봉기나 북한측의 주장에 대해서 상세히 쓰지 못한 것이 조금 아쉽군요. 나중에 신천학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신천학살에 대한 약간의 이야기

그리고 역시 그 글에 넣지 못한 이야기가 하나 더 있는데 북한 점령기간 중 미군에 의해 자행된 구체적인 민간인 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북한의 억지 주장처럼 미군이 수 만명의 대량학살을 자행한 것은 아니지만 민간인에 대한 소규모의 공격은 분명히 존재했으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문제입니다.
북한은 1951년부터 본격적으로 UN을 통해 미군의 전쟁 범죄를 비난하고 국제 사회의 여론을 유리하게 돌리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물론 북한의 이런 선전 중에는 신천학살과 같이 터무니 없는 것도 있지만 소규모의 민간인 살해는 미국 측 기록을 통해서도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 육군 제187공수연대전투단과 미 해병대 제1해병사단, 미육군 10군단 헌병대의 민간인 살해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례는 1950년 11월 평양 인근에서 187공수연대전투단 D중대 소속의 모리슨(Aubrey L. Morrison) 이병과 손더스(Arnold A. Saunders) 일병의 주도로 일어난 민간인 살해사건에 대한 개요입니다.

(전략)

2. 개요 : (CID 보고서 51-O-78-A의 색인 A를 참고). 1950년 11월 3일 오전 178공수연대 전투단 소속의 모리슨 이병과 7명의 사병은 북한 평양 근교의 주둔지를 출발해 한 마을에 도착했으며 이곳에서 북한군 군복을 입고 있는 민간인을 발견했다. 모리슨은 그 사람이 북한인민군의 탈영병이라고 진술했다. 그는 무장을 하고 있지 않았다. 손더스 일병이 그에게 45구경 권총 두 발을 발사했으며 모리슨 이병은 총검으로 찔렀다. 그 민간인은 이때 입은 상처로 사망했다.

같은 날 오후 모리슨과 7명의 사병(이 중 두 명은 오전의 수색조에도 속해있었다)과 함께 다시 공산군을 찾는다는 구실로 주변 마을들을 돌아 보았다. 이 과정에서 모리슨은 여섯 명의 한국 민간인을 총으로 쏜 뒤 총검으로 찔렀다. 다른 사병 두 명도 각각 한국 민간인 두명을 쐈으며 그 뒤 모리슨이 총에 맞은 민간인들을 찔렀다. 이들은 수색은 사전 허가를 받지 않았다. 모두 남성인 민간인 아홉명이 살해되었다.

2. Facts : (See Tab “A”, CID Report 51-O-78-A). On the morning of 3 Nov 50 a Pvt Aubrey L. Morrison and seven other EM of the 178th Abn RCT left their area near Pyongyang, North Korea, and proceeded to a Village where they found a civilian who had among his effects a North Korean uniform. The EM were told that the civilian was a deserter from NKPA. He was not armed. Pfc Saunders shot the civilian twice a caliber .45 postol and Morrison bayoneted him. The civilian died from such wounds.

On the afternoon of the same day Morrison and seven EM(two of whom had been present in the morning group) again went to other outlying villages, assertedly in search of communists. During this trip Morrison shot and then bayoneted six Korean Civilians. Two other EM each shot Korean civilians and Morrison proceeded to bayonet them also. None of the soldiers were on authorized patrol. Nine civilians, all men, were killed.

‘Request for confinement and mental evaluation’, 29 Jan 51, RG 338, Eighth U. S. Army, Box 740, Security-Classified General Correspondence

다음은 미 해병대와 미 10군단 헌병대의 사례입니다.

(전략)

2. 1950년 11월 3일, 미 해병대를 태우고 원산을 출발한 기차가 덕원(德源)에 정차했을 때 해병대원 중 일부가 전화선 작업을 하던 철도 신호원들을 아무 이유 없이 총으로 쐈다고 한다. 철도원 한 명이 허벅지에 총을 맞아 현재 치료 중이다.

3. 1950년 11월 10일, 10군단 헌병대의 차량과 사병(이 기차에 장교는 타고 있지 않았다)을 태우고 10시 30분에 원산을 출발한 기차에서 탑승한 헌병대원들에 의해 다음과 같이 타당한 이유도 없고 불필요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한다.

a. 13시 25분 경, 용훈 근처의 야산에서 지게를 지고 산을 오르던 한국인이 한 명이 총을 맞았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b. 용훈 근교에서 14세 정도의 한국 소년 한 명이 기차에 손을 흔들다가 총을 맞았다. 그는 양 손을 모두 치켜들고 있었는데 사망한 것으로 추정 될 때 까지 사격이 계속되었으며 이 사건은 13시 30분경에 일어났다.

c. 16시경 야산에 서서 기차가 지나가는 것을 구경하던 한국 남성이 사격을 받았으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d. 밭에서 일하던 7명의 한국 여성과 어린이, 그리고 노인이 사격을 받았다. 모두가 그 자리에 쓰러졌으며 그대로 있었다. 이 총격의 결과는 알 수 없다. 장소는 알 수 없으며 사건 발생 시각은 16시 05분경이다.

e. 의류를 짊어 지고 가던 한 한국 남성이 사격을 받았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소는 알 수 없으며 사건 발생 시각은 16시 30분 경이다.

4. 한국군 수송장교와 영어로 말하고 쓰고 읽는 것을 유창하게 하는 그의 부관이 중간에 기차를 세우고 미군들에게 민간인에게 총을 쏘는 것을 멈추고 그러기 싫거든 민간인들을 쏘지 말고 차라리 자신들을 쏘라고 항의했다. 그러나 미군들은 한국군이 상관할 일이 아니며 만약 그들이 공산당이거나 또는 공산당에 동조하는 것이라면 북쪽으로 가버리던지 아니면 ‘자신들의 전우를 죽인 자들과’ 똑같이 당해 보라고 대답했다. 기차에 타고 있던 다른 한국군 장교들은 아무것도 도울 수가 없었으며 부끄러움과 불쾌감 때문에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 이 기차에는 부사관 한 명이 인솔자로 동승하고 있었으나 사병들의 행동을 막기 위해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2. On 3 Nov 50 a train out of Wonsan bearing US Marines stopped at Dukwon and some of the marines, without any provocation being noted, allegedly began firing weapons at railroad signal men who were working on the telephone lines. One worker was hit in a thigh and is presently hospitalized.

3. On 10 Nov 50 a train out of Wonsan, leaving there at 1030 hours, and bearing vehicles and enlisted men(no officer accompanying them) of X Corps Military Police unit had the following incidents allegedly performed by members of this group, all of which apparently were unprovoked and uncalled for :

a. A Korean man walking up a mountain side near Yonghoon, carrying an “A” frame, was shot and apparently killed, at about 1325 hours.

b. A Korean boy, age about 14 years, near Yonghoon, waving his hand at the train, was fired upon. He raised both hands above his head, firing continued till he was apparently killed, at about 1330 hours.

c. A Korean man standing on a small hill watching the train pass was fired upon and apparently killed, location not given, at about 1600 hours.

d. Sev(en) Korean women, children a(nd) old men working in a field were fired upon. All fell flat and remained that way. Effect of fire not known. Location not given, at about 1605 hours.

e. A Korean man carrying a bundle of clothing on his back was fired upon and apparently killed, location not given, at about 1630 hours.

4. The KA Transportation Officer and his aide, who is a well educated person fluent in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English language, stopped the train at one point and remonstrated with the men, asking them to cease these sort of action, or to shoot them instead of these people. The reply was, in effect, that it was none of their(the Korean’s) business and that if they were, or liked, Commies they should go north or get the same thing thing they (the MP’s) were giving people “who had killed their buddies”. Other Korean officers on the train were helpless to do anything and hid their faces in shame and disgust. The Military Police on this train were apparently in charge of a non-commisioned officer, who did nothing to stop their activities.

‘Malicious Use of Weapons’, 15 Nov 1950, RG 338, KMAG Box 39, AG 333.5 G-1

먼저 첫 번째 문서에 나타난 살해 사례는 수색 작전 도중에 발생한 사례라는 점에서 비정규전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른 사례들과 유사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민간인 살해는 17~19세기 유럽에서 게릴라전에 직면한 유럽군대에서도 일어 났었고 2차대전 당시의 게릴라전 상황에서도 수없이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두 번째 문서에서 나타난 10군단 헌병대의 경우는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공격이라는 점에서 정도가 더 심각합니다. 특히 앞의 문건에 기록된 사건은 전투 작전(비록 허가는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중 전투 지역에서 벌어진 일인 반면 두 번째 문서에 나타난 민간인 공격은 전투상황이 아닌 상태에서 명백히 민간인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벌어졌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10군단 헌병대의 사례에서는 인종적 멸시감이 주된 동인이라는 점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특기할 만한 것은 ‘북한인’에 대한 ‘적’으로서의 적대감입니다. 민간인 살해에 항의하는 한국군 장교에게 북한인들을 ‘전우를 죽인 자들’이라는 표현으로 지칭한 것은 북진 이후 알려진 미군 포로 학살사건의 영향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전쟁 중 적국의 민간인에 대해서 적대감을 표출하는 하는 경우 또한 기존의 전쟁에서 많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한국전쟁의 경우에는 적대감에 인종적 멸시가 함께 작용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예전에 신천학살에 대한 글을 쓰자 이것이 인터넷 게시판의 좌우투쟁(!)에 인용된 일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저도 상당히 보수적이라 북한의 주장에 휘둘리는 자칭 진보들을 볼 때 마다 한심하다는 생각을 하긴 합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편’의 손이 항상 깨끗한 것은 아니지요. 인터넷에서 우연히 그 논쟁을 구경한 뒤 제 블로그가 지나치게 우편향(?) 되어가는 것은 아닌가 싶어서 균형(?)을 잡아볼 생각으로 이 글을 쓰게 됐습니다.

한국전쟁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감정에만 사로잡힌 논쟁들이 오가는 것을 보면 전쟁이라는 사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성찰은 아직 부족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아직까지 북한이라는 찝찝한 국가가 남아있다는 점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도 있겠지만 어쨌든 휴전 이후 60년이 다 되어 가는 시점에서도 편을 갈라 소모적인 감정싸움만 벌인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지요.

2009년 1월 18일 일요일

각하의 정치력, 가카의 정치력

이명박의 낮은 정치력은 박근혜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고 갈등만 키우는 점에서 아주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청와대측에서 한나라당 중진들을 오찬회동에 초대하면서 관례를 무시한 행동을 해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지요.

한나라 중진들, 靑 '의전소홀' 떨떠름

Sonnet님이 얼마 전에 지적했 듯 박근혜와 같은 강력한 정적을 제어하는데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큼지막한 감투를 하나 던져주는 것 입니다. 많은 권력자들이 이런 방법을 사용해서 막강한 정적들을 쳤지요. 이 방법은 인류의 역사를 통해 그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아마도 이명박에게 가장 쓸만한 카드였을 것 입니다. 만약 집권 초에 이 카드를 썼다면 아마도 지금쯤 개각을 핑계로 박근혜를 칠 수 도 있었을 것입니다.

아마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래 이 방법을 가장 효과적으로 써먹은 사람은 이승만일 것입니다. 이승만은 첫 내각을 구성하면서 처음에 국무총리로 지명한 이윤영이 의회에서 거부당하자 이범석을 국무총리로 지명해 통과시킵니다. 게다가 이범석은 국방부장관을 겸임하여 그야말로 막강한 권력을 가지게 됩니다. 미국 측에서는 군 장교단이 이범석의 권력을 두려워해서 이범석의 지시가 없이는 아무것도 하려 하지 않는다고 불평할 정도였지요.
하지만 이승만은 이범석을 국무총리에 앉힌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범석의 중요한 권력 기반인 조선민족청년단(朝鮮民族靑年團)을 해체시켜 대한청년단(大韓靑年團)에 흡수시켜 버립니다. 이 과정에서 이범석이 저항을 하긴 했지만 이승만은 그것을 간단히 제압해 버리지요. 이승만은 족청을 해체한 뒤 얼마 있지 않아 이범석을 국방부장관에서 해임시켜 버립니다. 족청이라는 강력한 방패가 없어지자 이범석의 정치적 위상은 취약해 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승만은 1950년 4월에 이범석을 국무총리직에 해임 함으로서 이범석에게 결정타를 먹이지요. 이승만은 자유당을 창당할 때 다시 한번 이범석을 끌어들인 뒤 또 한번 등에 비수를 꽂으면서 자신의 정치적 수완을 과시합니다. 1952년 대선에서 이범석은 결정적인 타격을 받아 더 이상 정치적으로 재기할 수 없게 되어버립니다.

물론 가카의 정치적 수완이 바닥이라는 점은 그의 정적들에게 크나큰 축복입니다. 우리 같은 일반 시민에게도 좋은 일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만.

2009년 1월 15일 목요일

1차 중동전쟁과 레바논군

캠브리지 대학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에서 나온 The War for Palestine 2판을 읽는 중입니다. 이 책은 개정판으로 확대되면서 1948년 전쟁 당시 레바논군에 대한 글이 한편 추가되었더군요. 휴즈(Matthew Hughes)가 쓴 이 짧은 글은 꽤 재미있는데 이 글을 바탕으로 관련 1차 중동전쟁 당시 레바논군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레바논은 마론파 기독교도와 수니파, 시아파 이슬람교도, 드루즈파 등 잡다한 종교집단이 뭉쳐져 만들어진 나라이다 보니 독립부터 약간 불안한 출발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레바논은 2차대전 중 자유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약속 받고 기독교와 이슬람교도 간에 국가협약을 체결해 독립국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이 협약은 1932년도 인구조사에 따라 대통령과 총리 등 정부의 주요 직위를 각 종파별로 배분했습니다. 예를 들어 대통령은 기독교도, 총리는 수니파 이슬람교도가 가지는 식입니다.
물론 기독교도는 물론 이슬람교도 중 상당수가 이 국가협약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슬람교도들은 레바논에서 이슬람의 우위를 확보하려 했으며 기독교도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미 마론파 기독교도들은 1920년대부터 팔레스타인의 시온주의 운동과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이슬람교도에 상당수의 권력을 양보한 국가협약에 극도로 반대하고 있었습니다. 이슬람교측이 시리아의 지원에 기대하고 있었던 것 처럼 기독교도들도 이전부터 협력관계를 유지해온 이스라엘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에 대통령을 지낸 에데(Emile Edde)는 1948년 7월 3일에 이스라엘과 비밀리에 회동을 가지고 이스라엘이 남부 레바논을 침공할 경우 기독교도가 베이루트에서 반정부 무장폭동을 일으킬 것을 제안했습니다. 벤 구리온은 레바논이 아랍의 포위망에서 가장 취약한 고리라는 점은 인정했지만 레바논 기독교도의 군사적 능력에 대해 회의적이었으므로 에데의 제안을 거절했습니다.[Hughes, 2007, p.206]
레바논 정부는 국내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 때문에 전쟁으로 치달을 경우 국가가 혼란에 빠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레바논은 아랍연맹의 가맹국 중 유일하게 최후까지 외교적 해결을 주장했습니다.[Pappe, 2001, p.102~103]

어쨌든 정부에 반발하는 기독교 무장세력이 존재하는 만큼 레바논 군대의 역할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정규군도 기독교도의 영향력이 강했다는 점 입니다. 국가협약에서 국방부장관이 기독교도에 배분되었을 뿐 아니라 군사령관도 기독교도인 셰합(Fuad Chehab) 대령 에게 돌아갔고 참모장은 드루즈 출신이 맡았습니다. 여기에 군 장교단의 상당수는 기독교도가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1945년 레바논군이 정식으로 발족했을 때 레바논군 장교단의 71.8%가 기독교도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된 원인은 식민통치의 유산이었습니다. 레바논 군대는 식민지 시기 프랑스가 만든 식민지군대에 기반하고 있었는데 당시 기독교도와 함께 군대의 상당수를 차지하던 시리아인들은 레바논이 독립하자 시리아로 돌아가 버리고 레바논 군은 기독교도만 남게 된 것입니다. 장교단 중 이슬람교도는 1958년 까지도 20%를 겨우 웃도는 수준이었습니다.[Hughes, 2007, p.208] 셰합 대령은 신생 레바논군의 장교단을 소수의 정예화된 장교들로 구성하고자 했기 때문에 엄격한 심사기준을 적용했고 교육수준이 낮은 시아파나 수니파 이슬람교도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했습니다. 이 때문에 레바논의 이슬람 교도들은 레바논군을 ‘우리의 군대’라기 보다는 ‘기독교도 군대’로 인식하는 실정이었습니다.

1948년 전쟁 당시 레바논군은 4개 경보병대대(Battaillons de Chasseurs)와 1개 포병대대, 1개 기갑대대, 약간의 기병대와 독립 공병, 의무, 수송대로 편성되어 있었습니다. 1차 중동전 당시 레바논군의 총 병력에 대해서는 Herzog의 2,000명 설에서 5,000명 설 등이 있는데 레바논군의 작전일지를 활용한 휴즈는 3,000명에서 3,500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중장비로는 18대의 프랑스제 전차(아마도 R-35)와 장갑차, 75mm와 105mm 포가 혼재된 2개 포대 규모의 야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프랑스제 전차를 대체하기 위해 미국측과 M-4 셔먼을 도입하는 문제를 협상했는데 이것은 1차 중동전쟁이 끝난 1949년 7월 까지도 진전이 없었다고 하는군요.[Hughes, 2007, p.207]

레바논은 아랍연맹(Arab League)에 가입한 만큼 이스라엘에 대한 전쟁에 공식적으로 참전하기는 했습니다.물론 실제 이스라엘과의 전투에 투입된 것은 3대대 하나 뿐이었다고 합니다. 레바논군은 1차 중동전 와중에도 국내 치안 유지와 산적 토벌 등을 위해 동원되고 있었기 때문에 정작 이스라엘 군과의 전투는 제대로 치르지 못했습니다. 유일하게 이스라엘과 교전한 3대대 조차 1948년 5월 7일에 바알벡(Baalbek)의 치안 유지를 위해 1개 중대를 차출해서 보냈다고 하니 어떤 상태로 전쟁을 치르고 있었는지는 짐작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레바논 정부는 국내의 친 시리아 성향 이슬람 교도들이 시리아와 연계할 것을 우려해 공식적으로는 이스라엘과 교전하는 상황에서도 동맹국(!)인 시리아 국경에 방어시설을 구축하고 있었습니다.[Hughes, 2007, p.208]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레바논군 중에서 공식적으로 이스라엘과 교전한 것은 1개 대대에 불과했습니다. 1차 중동전쟁에서 레바논군의 역할은 미미하다 보니 대부분의 연구들은 레바논군에 별다른 관심을 두지 않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출간된 중동전쟁 개설서인 김희상(金熙相)의 『中東戰爭』에서는 레바논군의 공세에 대해 ‘네 줄’만을 할애하고 있지요(;;;;)[김희상, 1989, 59쪽]
1948년 5월 중순, 아랍연합군은 레바논군에게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 군과 합류해 갈릴리 방면에 대한 공세에 나서라는 임무를 부여했습니다. 처음에 레바논 군에게 부여된 임무는 아크레를 점령한 뒤 하이파 방면으로 공세를 확대하는 것 이었습니다.[Pappe, 2001, p.125] 그러나 셰합 대령은 레바논군의 전력이 고작 4개 대대에 불과하며 실질적인 전투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공세에 적합하지 않다고 연합군 수뇌부를 설득했습니다. 게다가 기독교도인 레바논 대통령도 이스라엘과의 전쟁을 마땅치 않게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셰합 대령의 방어안을 적극적으로 지지합니다. 결국 레바논군이 담당한 알 나쿠라(al-Naqura) 지구에서는 별다른 교전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레바논 국내의 이슬람 정치인들이 계속해서 정부에 공격을 요청했기 때문에 레바논군은 결국 소규모의 공격에 나서게 됩니다.
레바논군의 공격목표인 말리키야(Malikiyya)는 5월에 아랍해방군(ALA)이 잠시 점령했다가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다시 빼앗긴 곳이었습니다. 그런데 레바논군에게는 다행히도 원래 이곳에 주둔하고 있던 이프타흐(Yiftach) 여단의 1대대가 예루살렘 방면으로 이동하면서 전투경험이 부족한 오데드(Oded) 여단의 예하 부대가 배치되었습니다. 이 부대는 배치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전투경험이 부족한데다 장비도 형편없어서 전투력이 낮았습니다.
1948년 6월 5일, 레바논군 3경보병대대(병력 436명)이 공격을 개시하자 오데드 여단은 약간의 저항만 하고는 이날 17시30분에서 18시 사이에 말리키야를 버리고 퇴각했습니다. 레바논군은 전사자 두 명을 내는데 그쳤으며 이스라엘 측은 8명이 전사했습니다. 전투경험이 부족했던 오데드 여단은 이것을 최소 2개여단 규모의 대공세로 착각했습니다. 재미있게도 이스라엘 측의 이런 착각이 전후의 연구에도 반영되어 대표적인 개설서로 꼽히는 Herzog의 저작에도 이날의 전투는 시리아-레바논 연합군 2개 여단에 의한 것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 측은 이 공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시리아-레바논 연합군이 말리키야를 점령한 뒤 유대인 지구에 대한 공세를 계속할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도 언급했듯 이 전투는 소규모로 전개된 전투였으며 레바논군은 국내외의 정치적 압력에 의해 마지못해 공세에 나선 만큼 말리키야를 점령한 선에서 공세를 멈추려 했습니다. 그리고 레바논군은 7월 8일에는 아랍해방군에게 말리키야를 인계하고 다시 레바논으로 되돌아가 버립니다. 이것으로 1차 중동전에서 레바논군의 작전은 사실상 종료되어 버립니다.

이 전투는 군사적으로는 보잘 것 없는 것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매우 중요했습니다. 레바논 정부는 국내의 이슬람교도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말리키야 전투의 승리를 대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그리고 이 승리를 기념하여 베이루트에서 각 종파 지도자들의 참석 하에 대대적인 군사 퍼레이드를 벌였습니다.

레바논군이 생색내기용 전투를 벌이고 승전퍼레이드를 하는 동안 말리키야를 인계 받은 아랍해방군은 이스라엘 측의 대대적인 반격에 맞서 싸우게 됩니다.
그런데 아랍해방군은 정규군이 아니다 보니 창설에 관여한 시리아와 이라크 정부 모두 별다른 관심을 두지 않은 존재였습니다. 비정규부대 답게 부대원의 질적 수준도 들쑥 날쑥해서 그야말로 강간과 약탈 말고는 할 줄 모르는 건달부터 열렬한 아랍 민족주의자까지 다양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들의 유일한 공통점은 훈련과 장비 모두가 부족해 정규전을 수행할 능력이 부족했다는 것 이었습니다. 게다가 보급도 부족해 9월 이후 탄약 재고가 영국제 소총은 1정당 18발, 프랑스제 소총은 1정당 45발, 기관총은 1정당 650발 수준이었습니다. 사실 아랍연맹의 가맹국들은 겉으로는 아랍 민족주의를 내세우면서 국내의 단결을 외치고 있었지만 실제 행동에 있어서는 서로 주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1차 중동전이 개시될 당시 대부분의 아랍 국가들이 국내의 강경한 여론 때문에 군대를 보내긴 했지만 실제로는 전쟁 준비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이니 시리아나 이라크 등은 아랍해방군 같은 군사조직을 지원할 의사도 능력도 없었습니다. 기묘하게도 당시 이스라엘은 아랍해방군의 전투력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전쟁이 발발할 무렵 아랍해방군의 총 병력을 25,000명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장비와 훈련수준도 높다고 보았습니다.[Pappe, 2001, p.129] 물론 실제로는 아니었습니다만.

※ 1차 중동전쟁에 대한 과거의 저작들은 아랍해방군의 전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이야기를 해 보려 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스라엘 측은 대대적인 반격에 나섭니다. 먼저 7월 8일 발동된 데켈(Dekel) 작전으로 7월 18일 까지 중부 갈릴리 지역이 이스라엘의 손에 떨어집니다. 아랍해방군은 이스라엘의 공세가 시작되자 일방적으로 패주해 버립니다. 데켈 작전 종료 이후 일시적인 소강기가 시작되자 아랍해방군 병사들은 식량 부족, 질병 등의 이유로 대규모로 탈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0월 29일 이스라엘이 다시 히람(Hiram) 작전을 발동해 공세로 나서자 이미 붕괴 상태에 있던 아랍해방군은 전면적으로 패주합니다. 식량은 커녕 물 조차 보급받지 못하자 병사들은 물을 찾아 부대를 이탈해 버리고 일부 병사들은 식량을 사기 위해 레바논 경찰에 총을 팔아 버리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아랍해방군의 제1 야르무크(Yarmuk) 대대는 히람 작전 기간 동안 불과 세 명의 전사자만 냈으며 피해의 대부분은 탈영으로 인한 것이었다고 하니 전투의 실상이 어떠했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이 패주의 뒷면에는 구질구질한 이야기도 더러 있는데 패주하던 아랍해방군 병사들이 같은 무슬림 형제들을 약탈하거나 강간했다는 것 들입니다.

이미 승전행사를 한 뒤 쉬고 있던 레바논군은 이스라엘의 대공세를 맞은 아랍해방군이 포병 지원을 요청하자 점잖게 거부했습니다. 그리고 갈릴리 지역을 석권한 이스라엘이 레바논 국경을 넘자 교전을 회피하고 퇴각해 버렸습니다. 결국 레바논군에게 실질적인 전투는 말리키야 전투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습니다. 1차 중동전이 끝나고 포로 교환이 있었을 때 레바논측은 36명의 포로가 귀환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아랍해방군에 지원한 레바논의 이슬람교도였다고 합니다.

레바논은 놀랍게도 1948년의 난장판을 별다른 손실 없이 회피할 수 있었습니다. 이 나라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생각하면 정말 놀라운 일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러나 항상 이렇게 좋은 결말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우리 모두는 이 나라가 결국 참혹한 내전에 휘말려 콩가루가 되었다는 씁슬한 현실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지요.


참고문헌
金熙相, 『中東戰爭』, 日新社, 1977/1989
Chaim Herzog, Shlomo Gazit, The Arab-Israeli Wars: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Greenhill, 2004
Matthew Hughes, ‘Collusion across the Litani? Lebanon and the 1948 War’, The War for Palestine(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2007
Ilan Pappe, The making of the Arab-Israeli conflict 1947~1951, I. B. Tauris, 1992/2001

※잡담 1. 참고 자료를 찾아 볼까 해서 레바논군 웹사이트에 들어가 봤는데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로 서비스가 되는군요. 레바논군 박물관에 대한 내용도 있는데 레바논이 안전해 지면 한번 구경해 보고 싶은 곳 입니다.

※잡담 2. 이번에 글을 쓰면서 찾아 보니 셰합 대령은 나중에 레바논 대통령이 되었더군요. 역시 어느 사회에서나 군고위직은 더 높은 자리로 가는 징검다리인가 봅니다.

2009년 1월 12일 월요일

Germany and the Axis Powers - by Richard L. DiNardo

옛날 농담 하나.

히틀러와 도죠가 지옥에서 만났다.


반갑게 인사를 나눈 뒤 히틀러가 말하길.




“다음 전쟁은 이탈리아를 빼고 합시다.”

이 썰렁한 개그가 상징하듯 2차대전 당시 독일과 그 동맹국들간의 공조체계는 엉망이었습니다. 이미 푀르스터(Jurgen Förster) 같은 쟁쟁한 연구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서 명확한 결론을 내려놓고 있습니다.

디나르도(Richard L. DiNardo)의 Germany and the Axis Powers 역시 독일과 동맹국들의 관계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들과 동일한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물론 붕어빵 같이 똑같은 내용이라면 굳이 책을 쓸 필요가 없었겠지요. 디나르도는 독일과 동맹국들의 관계를 각각 전략 차원과 작전 차원에서 고찰하고 있습니다.

작전 단위에서는 독일군의 각 병종 별로 동맹국들과의 협력의 성과가 달랐습니다. 저자는 독일 공군이 동맹군과의 관계에서 가장 양호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지중해 전역에서 몰타에 대한 공격과 루마니아의 플로예슈티(Ploieşti) 방공전을 꼽고 있습니다. 그러나 독일 공군도 궁극적으로는 동맹국들을 하위 동반자로 생각했기 때문에 중요한 기술 협력에서는 비협조적이었다는 한계를 지적합니다. 독일 육군과 동맹국의 관계는 최악이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동부전선입니다. 독일 육군은 동부전선에 대규모의 동맹군을 끌어들였지만 정작 동맹국에 대한 군사원조와 보급에는 비협조적이었으며 이것은 1942~43년 겨울의 대재앙으로 이어졌다고 비판합니다. 동부전선에서 동맹군 사령부에 파견된 독일연락장교들은 종종 상대방이 무례한 간섭으로 여길 정도로 행동해 거부감을 키우는 등 문제가 많았다고 합니다. 아마 동부전선의 독일과 그 동맹국들의 관계는 한국전쟁 당시 한국과 미국의 관계와 비교하면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자가 독일 육군에서 예외적인 존재로 꼽는 것은 롬멜인데 저자는 롬멜은 동맹군인 이탈리아군을 잘 활용했다고 높게 평가합니다.

저자는 전략 단위의 동맹 관계에 대해서는 더욱 혹독한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미국과 영국과 같이 통일된 전략적 지휘체계가 없었다는 꼽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런 문제점 때문에 이탈리아가 아프리카와 발칸반도에서 무모한 모험을 벌여 독일을 수렁에 빠트린 것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독일과 그 동맹국들의 전략적 이해 관계가 제각각 이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합니다. 독일과 이탈리아의 이해관계 차이는 지중해 전역에서 문제를 일으켰고 동부전선에서도 동맹국들이 각각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치중했기 때문에 1944년에 파탄을 가져왔다는 것 입니다. 독일의 동맹국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핀란드도 미국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1942년 말부터 전쟁에서 빠질 구실만 찾았으며 독일의 지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공세에 무관심했다는 점은 독일과 동맹국들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리고 제가 가장 흥미 있게 생각한 것은 독일은 미국보다 뒤떨어지는 산업력으로 미국이 자국의 동맹국들에게 했던 것과 같은 역할을 했다는 점 입니다. 독일은 동맹국들에게 군사 및 경제원조를 하면서 전쟁을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독일은 미국이 아니었으니 이런 체제가 제대로 굴러갈 수는 없었습니다. 이탈리아는 우수한 해군을 가졌지만 석유 부족으로 1942년 초부터 작전에 지장을 받았습니다. 독일은 지중해 전역을 위해서 이탈리아 해군에 대한 석유 보급에 신경 썼지만 독일의 능력으로는 이탈리아 해군을 지원하는 것이 역부족이었습니다. 1943년 이후 동맹국들은 독일에 더욱 더 많은 원조를 요구했지만 이제는 독일 스스로도 자국의 필요량을 채우는데 급급해 졌습니다.

저자는 독일이 1차대전의 경험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고 비판합니다. 독일은 1차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라는 제 1의 동맹국을 단순한 하위 협력자로 대했는데 그러한 과오를 2차대전에서도 반복했습니다. 특히 전략적 차원에서의 동맹 관계는 완전한 실패 그 자체였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반대로 독일의 적국들은 1차대전과 2차대전 모두 독일보다는 양호한 동맹관계를 유지했습니다. 1차대전 당시 영국-프랑스의 관계나 미국-영국의 관계는 그것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물론 이들의 관계는 독일과 그 동맹국들과는 달리 동등한 입장에서 관계가 가능한 강대국들이었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독일의 주요 동맹국들은 하나 같이 독일보다 국력이 압도적으로 떨어지는 국가들이었고 열강 대접을 받던 이탈리아도 그 점에서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만약 독일이 자국과 동등한 수준의 동맹을 가졌다면 2차대전사가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한국전쟁시기 한미관계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꽤 많습니다. 한국은 월등한 국력의 강대국을 동맹으로 가진 만큼 이 저작이 충분한 시사성을 가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009년 1월 9일 금요일

한국전쟁기 미 공군의 공중폭격에 관한 연구」(2008) - 김태우

국내의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 성과는 방대한 양이 축적되어 있지만 상당수가 전쟁의 기원과 발발과정, 또는 휴전과정과 그 영향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전쟁 시기에 초점을 맞춘 연구도 대부분은 전쟁기의 학살, 피난민 문제 등 사회사적인 주제들을 다루고 있지요. 본격적인 군사사 연구는 거의 대부분 국방부의 전사편찬위원회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흥미로운 민간 연구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김태우(金泰佑)의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한국전쟁기 미 공군의 공중폭격에 관한 연구」(2008)는 한국전쟁의 군사적 측면을 다룬 보기 드문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합니다.


게다가 재미있습니다!!!


한국전쟁 시기의 미공군 작전에 대한 연구로는 스튜어트(James T. Stewart)의 Airpower: The Decisive Force in Korea, 퍼트렐(Robert F. Futrell)의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 크레인(Conrad C. Crane)의 American Airpower Strategy in Korea, 1950-1953등이 있습니다. 냉전기에 출간된 스튜어트와 퍼트렐의 연구는 시기적 한계와 미국 공군의 공식적인 견해를 대변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제약이 있습니다. 반면 냉전 이후 출간된 크레인의 연구는 미공군의 입장을 반영한 기존 연구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면서 냉전기에는 잘 언급되지 않았던 측면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습니다.

참고로 퍼트렐의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미공군군사사연구소(Air Force Historical Studies Office)에서 pdf 형식으로 전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이 주제에 대한 가장 최근의 연구답게 90년대 이후 공개된 방대한 미공군 자료들을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공군, 또는 미국인의 입장에서 간과하기 쉬운 북한과 공산군측의 입장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시기적으론 1950년부터 1951년에 대부분의 내용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에 전쟁 후반의 작전에 대한 서술이 부족한 편이지만 그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잘 다루고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저자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지나치게 전쟁의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 집중된 나머지 전쟁 그 자체에 대해서는 제대로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논문은 한국전쟁기 수행된 미군의 항공작전을 군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공군의 폭격정책이 형성된 과정과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당시 미공군의 지휘운용체제를 다루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전쟁 초기 북한지역에 감행된 미공군의 ‘전략폭격’작전을, 세 번째로는 전쟁 초기 남한 지역의 전술항공작전, 네 번째로는 중국군 참전 이후 공군에 의한 초토화 작전과 전선 고착 이후 항공압력전략으로 선회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미공군의 폭격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한 1장은 1차대전과 2차대전 시기 미공군을 비롯한 열강들의 폭격 교리가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주로 2차자료를 활용하고 있고 또 영어권 자료에 집중되어 지금 시각에서는 약간 잘못된 부분이 보입니다.(독일 공군의 폭격 정책에 대한 설명이 대표적입니다) 그렇지만 본문의 이해를 위한 도입부로서 매우 잘 서술되었다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제독의 반란’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다뤄줬으면 좋았겠지만 곁가지를 너무 많이 치면 논문이 산으로 갈 수 밖에 없지요.
2장에서는 전쟁 초기 미공군이 수행한 북한 지역에 대한 전략폭격을 다루고 있습니다. 역시 한국에서 나온 연구 답게 미국인들이 제대로 분석하지 못한 북한의 대응을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 좋습니다. 전쟁 초기에 북한 공군이 섬멸 되었기 때문에 북한의 대응은 방공호 건설과 피해 복구 등 철저히 수동적인 것에 제한 되었지만 이러한 수동적인 대응도 나름대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3장에서는 전쟁 초기 남한 지역에서의 전술지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주제는 미군에 의한 민간인 폭격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입니다. 저자는 전쟁 초기 미공군이 효과적인 지상지원을 할 수 없었던 이유로 제5공군이 미국의 방어적 전략에 의해 일본의 방공에 중점을 두고 개편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지상군에 대한 전술지원 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민군의 진격에 의해 전선의 상황이 유동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효과적인 지상지원이 어려웠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미공군의 압도적인 전력에 눌린 북한군이 점점 은폐에서 신경 쓰고 야간 작전으로 전환한 것도 미공군의 지상지원능력의 효과를 떨어트린 요소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런 요소들이 결합되어 남한 지역에서 많은 민간인 희생을 일으켰다고 봅니다.
2장과 3장이 1950년 6월부터 겨울까지의 짧은 기간을 다룬 반면 4장에서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 이후부터 전쟁 종결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중국의 참전으로 전세가 역전되면서 후퇴하는 미군이 초토화 작전의 일환으로 공군력을 동원한 것과 전선 교착 이후 미공군이 항공압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분량에 비해서 다루는 시기가 방대하기 때문에 서술의 밀도가 떨어지는 감이 있습니다. 특히 2장과 3장에서는 노획문서 등 북한 문헌의 활용을 통해 북한측의 대응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데 비해 4장에서는 북한의 공식 문건이나 소련을 통해 공개된 문건 등으로 자료가 제한되고 있습니다. 1951년 이후로는 노획문건이 급감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미국의 폭격으로 인한 북한 사회의 변동에 대한 평가입니다. 저자는 미국의 폭격으로 북한 경제의 기반이 송두리째 붕괴되었기 때문에 북한에서는 전후 국가 주도의 농업집단화가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 비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되었다고 평가합니다.

이 논문은 기존에 국내의 한국전쟁 연구가 거의 방치한 군사적 측면을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높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저자는 군사사상은 물론 미공군의 장비, 전술 등의 측면에 대해서도 많은 분량을 할애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런 충실한 서술은 군사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미군의 ‘폭격’에 초점을 맞춘 만큼 1951년 이후의 항공작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 제공전투에 대한 서술이 거의 없다는 점은 섭섭하지만 그 점까지 다뤘다간 분량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났을 것 입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공개된 문헌을 통해 북한측 시각을 최대한 공정하게 반영하려 했다는 점은 미국측 연구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미덕입니다. 아무래도 언어의 한계 때문에 미국의 한국전쟁 연구는 반쪽 짜리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는데 이렇게 한국인의 시각에서 군사적 측면을 다룬 연구가 나왔다는 점은 매우 반가운 일 입니다.

당장 단행본으로 나와줬으면 하는 재미있는 논문입니다. 아직 읽어보지 않으신 분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2009년 1월 7일 수요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룡인시에 사는 어린양입네다

오늘 도착한 책 한 권.


헉. 이 어린양이 졸지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태양민족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가끔 그냥 Korea라고 표기해서 오는 경우는 봤는데 North Korea로 찍혀서 온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번에 주문한 책 중에서 이놈이 가장 먼저 도착했다는 점이죠.(4일만에 날아와서 놀랐습니다.)

가카의 대약진운동 2

정부의 일자리 대책에 대해서 언론들이 재원 조달 방안이 미흡하다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녹색 뉴딜] 급한 일자리+친환경 성장 '한국형 뉴딜'

조선일보도 비판적인 사설을 실었군요.

[사설] '녹색 뉴딜'로 정말 96만 개 일자리 창출 가능한가

이번 대책은 정책적 고려가 부족한 상태로 상부의 지시에 의해 졸속으로 수립된 것이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역사적 경험에 따르면 이런 불황 상태에서는 정부 지출로 이런 임시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무슨 일을 하건 일단 재원 조달 방안은 확실해야 믿을 수 있지요. 그런데 정부의 계획은 도통 믿음이 가지 않는군요.




뭐 어떻습니까. 일자리만 늘어나면 되는거죠!

한국일보에서 퍼왔습니다.




중국이 철 생산량을 늘린 것 처럼 말입니다!

2009년 1월 6일 화요일

가카의 대약진운동

지하철 가판대에서 한국일보를 사보니 1면에 아주 멋진 기사가 실려 있었습니다.

올해는 완전고용 시대?

가카께서 명령을 하달하니 각 부처들이 경쟁적으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한 모양입니다. 이건 무슨 대약진운동 시기의 농민대회를 보는 것 같군요;;;;


공업에서의 대약진에 앞서 먼저 식량 생산에서 증산 경쟁 운동이 일어났다. 1958년에 ‘최고의 수확을 다짐하는 농민대회’가 열렸다. 과거 밀 수확량은 1에이커 당 500근에 불과했으나 이날 출전한 첫번째 인민공사 대표는 1에이커 당 3,000근을 목표로 내세웠다. 두번째 대표는 4,000근을, 세번째 대표는 5,000근을 다짐했으며 결국 대회에서는 모두 10,000근을 달성할 것을 결의했다.

차문석, 『반노동의 유토피아 – 산업주의에 굴복한 20세기 사회주의』, 박종철출판사, 2001, 244쪽

넵. 물론 결과는 다들 잘 아시는 바와 같습니다.

과연, 우리의 가카는 마오주석 부럽지 않은 양반입니다. 가카께서 일자리를 만들라고 하시니 각 부처별로 일자리 만들기 경쟁을 하는군요. 벌써 일자리가 100만개를 넘어섰다고 하니 남조선은 구원받았습니다!

※ 역시 한국일보는 돈 주고 사 볼 가치가 있는 신문입니다. 같은 내용으로 이렇게 재미있는 기사를 뽑아낸다는게 쉬운 일이겠습니까.

2009년 1월 5일 월요일

Napoleon's Last Victory and the Emergence of Modern War - by Robert M. Epstein

Ladenijoa님이 트라헨베르크(Trachtenberg)계획에 대한 글을 써 주셔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대 나폴레옹 필살전법 - 트라헨베르크 플랜

약간 아쉬운 점 이라면 나폴레옹 전쟁 후기의 전투들이 1807년 이전의 전투들과 성격 면에서 크게 달라졌다는 점을 설명해 주셨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것 입니다. 1813년 뤼첸(Lützen)바우첸(Bautzen)에서 프랑스군은 수적으로 열세한 동맹군에 대해 거의 비슷하거나 더 많은 인명손실을 입으면서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 했습니다. 나폴레옹이 1805년과 1806년에 오스트리아-러시아와 프로이센을 상대로 거둔 눈부신 승리들은 나폴레옹의 전성기 실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입니다. 나폴레옹은 저 두 전역에서 동맹군을 상대로 적의 주력을 섬멸하는 결정적인 승리를 거둠으로서 외교적으로 크게 유리한 강화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1807년의 아일라우(Eylau)전투를 시작으로 해서 프랑스군이 전장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우위는 조금씩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1809년의 바그람(Wagram)전투는 나폴레옹의 승리로 끝나기는 했지만 이제 프랑스군이 언제나 전술적으로 동맹군을 압도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그렇다면 1805년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기에 동맹군이 전장에서 프랑스군과 거의 대등하게 싸울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한 것일까요?

오늘 이야기 하고 자 하는 엡스타인(Robert M. Epstein)의 ‘Napoleon's Last Victory and the Emergence of Modern War’는 바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는 저작입니다. 저자인 엡스타인은 1809년의 바그람(Wagram)전투를 분석해 이 전역을 기점으로 나폴레옹 전쟁은 물론 근대전쟁의 성격도 변화했다고 주장합니다.
엡스타인이 주목하는 점은 이 전역에서 나폴레옹이 승리하기는 했지만 더 이상 결정적인 승리는 거두지 못했다는 점 입니다. 나폴레옹은 1805년과 1806년의 전역에서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 일방적인 대승리를 거두면서 외교적으로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 낼 수 있었습니다. 두 전역에서 동맹군은 항상 결전장에서 프랑스군에게 주력이 격멸되는 참패를 당했습니다. 그런데 1809년 전역에서는 나폴레옹이 똑 같은 승리를 달성할 수 없었던 것 입니다.
엡스타인은 그 원인으로 1805년 이후 동맹군도 프랑스와 동일한 군제개혁에 성공한 점을 사례로 들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는 이 전역 이후로 프랑스를 모방한 군-군단-사단-여단으로 이어지는 지휘체계를 완성합니다. 러시아군은 1807년의 아일라우 전투 당시 불완전한 군단-사단체제로 전투에 참여했지만 1809년까지 전쟁을 준비할 기회가 있었던 오스트리아는 군단-사단체제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개혁을 실험할 기회가 1809년에 찾아옵니다.

※ 초기 프랑스군의 사단편제에 대해서는 예전에 글을 한 편 썼습니다.
-> 프랑스군의 사단편제 : 1763~1804

1809년 전역은 나폴레옹에게 있어서 자신의 적이 이전과는 크게 달라졌다는 점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바그람 전역의 초반인 아스페른-에슬링(Aspern-Essling)전투에서는 나폴레옹이 직접지휘하고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뒤이은 결전인 바그람 전투에서도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을 후퇴시키긴 하지만 수많은 인명피해를 내고도 적의 주력을 격멸하는데 실패하고 맙니다.

저자인 엡스타인은 1809년 전역이 본격적인 근대전쟁의 막을 열었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이전의 전역에서 나폴레옹은 한 차례의 전역에서 결전을 이끌어내 적을 무너뜨렸지만 1809년 전역에서는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오스트리아군도 군단-사단 체제로 개편되면서 프랑스군이 과거에 누리던 전략적 기동의 우위는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나폴레옹은 과거 한 개 군으로 편성되어 느리게 이동하던 적을 상대로 군단단위로 분산된 부대를 신속하게 전개해 전략적으로 포위, 결전으로 이끌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나폴레옹의 적들도 군단단위로 기동하게 됨으로서 프랑스군의 이러한 기동성의 우위가 사라집니다. 그리고 이렇게 군단단위로 넓은 전장에 산개해 이동함으로서 군단단위의 산발적인 교전의 가능성이 늘어나고 중앙의 사령부에서 전장을 통제하기가 더 어려워 졌습니다. 모든 장군들이 나폴레옹과 같은 천재일 수는 없었습니다. 1813년의 독일전역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시작된 근대적 전쟁의 여러 측면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이제 프랑스군과 동맹군은 단 한차례의 결전으로는 무너뜨릴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 졌습니다. 나폴레옹은 여전히 뤼첸, 바우첸, 그리고 드레스덴 등지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어느 것도 결정적인 승리가 아니었습니다. 나폴레옹은 결전을 기대하면서 라이프치히에서 동맹군과 싸웠지만 이 전투는 양측 모두에 끔찍한 인명손실을 입힌 소모전으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1813~14년의 전역에서 나폴레옹은 계속해서 전술적 승리를 거둘 수 있었지만 프랑스군은 점진적으로 소모되어 갔으며 이것은 나폴레옹의 전략적 패배로 이어집니다.

저자인 엡스타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나폴레옹은 자신이 창조했지만 이해할 수 는 없었던 전쟁의 역동성에 의해 타도된 것이다.”

분량도 많지 않고 재미있게 쓰여져서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근대 이후의 전쟁사에 관심을 가지신 분들은 한번 읽어 보시길 추천합니다.

2009년 1월 1일 목요일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해 제 블로그에 대해서 간단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제 블로그는 술자리 잡담 분위기를 지향합니다. 적당히 취기가 오른 상태로 진지한 듯 하면서도 진지하지 않은 이야기가 오가는 대학가의 맥주집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제 관심사와 지식의 범위가 지독히 좁다 보니 블로그에서 다루는 이야기들이 상당히 제한적입니다. 관심사를 넓히기 위해 노력중인데 성과가 금방 나타나지는 않는군요;;;;

제 재미없는 이야기에 관심을 가져 주시는 분들은 모두 환영합니다.

그 밖에, 저의 정치적 성향이나 기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즐거운 한 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2009년 첫 날은 어떻게 맞으셨는지요?

저는 원래 어제 쯤 강원도나 경상북도 북부의 한적한 마을로 가서 삼일 정도 조용히 쉬다 오려했으나 일이 계속 밀리다 보니 일을 하면서 2009년을 맞게 됐습니다. 지금도 일을 하는 중 입니다.(;;;;) 제가 좀 게으른 인간이다 보니 빨간 날에도 의자에 앉아 있는게 좀 고역이로군요.

그러고 보니 2009년은 구글 블로거로 옮겨온 이후 세 번째로 맞는 해 입니다.

되돌아 보면 재미있는 글을 쓰겠다고 하면서도 결국에는 썰렁한 농담이나 무미건조한 사실의 나열에 불과한 글만 남기고 말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댓글로 격려를 해주신 분들께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09년에는 보다 재미있는 글을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역시 블로그 활동을 하면서 가장 좋은 점은 많은 분들을 새로 만나고 그분들을 통해 몰랐던 사실을 배워간다는 점일 것 입니다. 이런 점이 블로그 활동을 계속 하게 만드는 원동력이겠지요. 많은 분들에게서 가르침을 받고 있는데 일일이 감사의 말씀을 전하지 못하는 점은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2009년은 모든 분들께 즐거운 일이 가득 하시길 빕니다.